2013년 노키아를 인수한 MS(마이크로소프트)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회사인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가 휴대전화 하드웨어 시장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지난 2013년 54억4000만 유로(당시 한화 7조8654억 원)를 들여 인수했던 노키아를 포기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지난 8일 MS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는 휴대전화 부문 7,800명을 구조조정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임직원의 6%에 해당하는 압도적인 숫자이다. 이 기획안 안에는 노키아 인수비용을 포함한 76억 달러(약 8조6300억 원)와 구조조정 비용 8억5000만 달러(약 9600억 원)를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가 노키아 인수가 실패되었음을 인정하고 생산라인을 포기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00년대 전 세계 IT 부문에서 최강자로 떠올랐던 MS는 삼성과 애플이 모바일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려가는 동안 계속해서 컴퓨터 시장에 집중했던 것 때문에 IT 시장에서 주도권을 내주게 되었다. 스티브 발머 전 CEO는 "후회한다"라는 말을 한 적 있다. 2013년 노키아를 인수하는 등 모바일 시장에 뛰어들었으나, 올 1분기 시장 점유율은 2.7%에 불과했다. 세계 시장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구글(79%)과 독보적인 지지층을 가지고 있는 애플(17.7%)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 하드웨어 시장에서도 삼성과 애플이 합계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이에 반해 MS는 2.6%에 불과하다.
나델라 CEO는 직원들에게 차별화가 가능한 부분을 선택하고 집중하겠다고 이메일을 통해 말했다.
지난달에는 노키아 출신의 고위 임원을 정리해고했고, 윈도 사업부와 디바이스 사업부를 통합해 '윈도&디바이스 그룹'을 중심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노키아를 인수하면서 애플의 단계를 밟아갈 것으로 보였던 MS는 노키아를 포기하면서 구글의 단계를 밟아 갈 것으로 보인다. 윈도 운영체제를 다른 회사에 보급하는 방식이다.
구글 또한 지난 2012년 모토로라를 인수해서 하드웨어 시장에 뛰어들었으나, 실적이 부진하여 중국 레노버에 매각했던 적이 있다.
한편, 나델라 CEO는 '윈도 운영체제의 생태계를 확대해가는 방향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 출처 : http://techneedle.com/archives/12468
내용 참고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3&aid=0003005973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SCOOP
이효재
'Blog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저 임금 겨우 450원 인상? (2) | 2015.07.11 |
---|---|
영국, 긴축 강화..."낮은세금, 낮은복지로" (2) | 2015.07.11 |
(일반 기사) 베일에 쌓인 그리스의 경제, 앞으로는 어떻게? (1) | 2015.07.06 |
그리스의 '디폴트' 배경과 주된 원인 (4) | 2015.07.05 |
영화와 정치색 (2) | 2015.07.05 |